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인문학에서 배우는 지혜

<사마천, 사기> '이관규천' 대롱으로 하늘을 엿본다.

by 헤비브라이트 2024. 10. 2.

이관규천(以管窺天)

대롱(管)으로 하늘을 엿본다(窺)는 뜻이다.

 

비슷한 말로는 관중지천(管中之天, 대롱 속 하늘)도 쓰인다. 

한마디로 좁디좁은 대롱으로 하늘을 본다는 의미이다.

 

춘추시대 천하의 명의(名醫)로 일컬어지던 편작(扁鵲)이 괵(虢) 나라 궁정의사의 좁은 소견을 탓할 때 썼던 말이라고 한다.

<사마천, 사기(史記) >에 나오는 이야기다.

 

반응형

정확히 말하면 사마천의 사기열전( 史記列傳) "편작창공열전"에 기록돼 있다.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편작(扁鵲) 이 괵(虢)이라는 나라에 갔을 때 태자가 병으로 숨졌다는 소식을 듣고 궁정 의사를 찾아가 무슨 병인지 지금 어떤지 물었다.

환자의 상태를 본 편작(扁鵲) 은 "내가 살려보겠습니다"라고 했다.

궁정 의사는 죽은 사람을 살려보겠다는 말에 "어린애도 그런 말은 곧이듣지 않을 것이요"라고 하면서 편작(扁鵲)을 무시하고 믿지 않았다

 

그러자 편작(扁鵲) 은 이렇게 말한다.

"그대의 의술은 대롱으로 하늘을 엿보고(以管窺天) , 좁은 틈새로 무니를 보는 것과 같소(狹隔目紋) "

바늘구멍으로 하늘을 보니 그 구멍만큼만 하늘을 볼 수밖에 없는 법, 하찮은 의술로 일부의 증세만 보고 병을 진단했으니 잘못 보았소이다."

 

편작(扁鵲) 은 침으로 태자를 소생시켰고 치료를 더하자 20일 후에는 일어났다.

궁정 의사가 죽었다고 진찰한 태자는 죽은 것이 아니라 그저 열기병에 걸렸을 뿐이어서 태자의 몸이 따뜻한지 귀가 잘 들리는지 코가 잘 열리는지 살펴 그가 아직 살아 있음을 알았을 뿐이었다.

이 일로 그가 죽은 이도 살려내는 의술을 행한다고 알려지게 되었다.

 사람들이 "편작은 죽은 사람도 살린다"라고 하자 그는 "죽은 사람을 소생시킨 게 아니라 아직 죽지 않은 사람을 고친 것뿐이오."라고 말했다.

 

대롱으로 하늘을 본다면 구름 한 조각도 제대로 보지 못할 것이다.

구름 한조각도 제대로 보지 못하면서 하늘을 다 봤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이관규천(以管窺天)은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 우리의 인식과 편견에 대해 깊게 생각하게 하는 가름침이 될 것이다.

한정된 경험과  얄팍한 지식으로 세상을 이해하려는 우리 모두가 때때로 이관규천((以管窺天)의 함정에 빠지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