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80

로지스틱스의 개념과 변화 01. 로지스틱스의 개념 로지스틱스(Logistics)라는 말은 원래 병참이라는 군사용어에서 비롯되었다. 병참은 군사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사람, 무기, 장비, 식량 등을 관리하고 필요한 곳에 보급·수송하는 기능을 뜻한다.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군사활동에서 로지스틱스는 중요한 역할을 맡아 왔다. 19세기 후반부터 로지스틱스라는 용어가 경제활동에도 쓰이게 되었다. 트럭과 철도로로 대표되는 로지스틱스 분야의 첫 번째 혁신, 운송의 기계화가 경제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 결과라 할 수 있다. 02. 로지스틱스이 변화 ① 로지스틱스 1.0 : 철도와 트럭의 시대 예부터 아주 먼 곳에 대량의 화물을 운송하는 것은 선박이 주도했다. 하지만 19세기에 들어와 선박에 의존하던 상황에 큰 변화가 생겼다. 철도가 등장한 .. 2021. 7. 7.
물류단지내 물류시설용지의 비율 # 물류단지시설용지는 공공시설용지를 제외한 면적의 60%이상으로 계획하여야 한다. # 물류단지시설용지에는 물류시설용지가 60%이상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 관련근거 : 「물류단지개발지침」 제8조 물류단지에 대한 토지이용계획의 용지분류는 물류단지시설용지, 복합용지, 지원시설용지, 공공시설용지로 분류된다. '물류단지시설용지'는 물류시설용지, 상류시설용지로 분류된다. '지원시설용지'는 가공·제조시설용지, 정보처리시설용지, 금융·보험·의료·교육·연구시설용지, 물류단지의 종사자 및 이용자의 생활과 편의를 위한 시설용지, 문화 및 집회시설용지, 폐기물처리시설용지, 주거시설용지, 숙박시설용지, 운동시설용지 등 , 복합용지 중 지원시설 부분으로 분류된다. '공공시설용지'는 도로용지, 공원용지, 주차장용지, 철도용지, .. 2021. 7. 6.
민간투자사업 BTO-rs, BTO-a 방식의 비교 ■ BTO-rs(위험분담형: Build․Transfer․Operate- risk sharing) ㅇ 정부가 사업시행에 따른 위험을 분담(예: 50%)함으로써 민간의 사업 위험을 낮추는 방식 (사업수익률과 이용요금도 인하) 주로 철도, 경전철사업에 적용되는 방식이다. ■ BTO-a(손익공유형: Build․Transfer․Operate- adjusted) ㅇ 시설의 건설 및 운영에 필요한 최소사업운영비* 만큼 정부가 보전함으로써(초과이익 발생시 공유) 사업 위험을 낮추는 방식 * 예시: ① 총민간투자비의 70%에 대한 원리금 상환액(원금 + 차입금리), ② 총민간투자비의 30%에 대한 이자(국채금리 수준), ③ 운영비용 공공하수처리장 등 주로 환경사업에 적용되는 방식이다. ■ BTO, BTO-rs, BTO-.. 2021. 7. 5.
반환공여구역 개발사업 민간부문 시행자 요건(재무 건전성) # 반환공여구역 및 반환공여구역주변지역을 개발하려는 민간사업자는 재무건전성을 입증해야 한다. # 관련근거 :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시행령」제11조 앞으로 반환공여구역 및 반환공여구역주변지역을 개발하려는 사업자는 '재무건전성'을 입증해야 한다. 민간사업자가 '공여구역주변지역등발전종합계획(종합계획)'에 반영된 사업을 시행하려는 경우 자본금 등 일정한 자격을 갖추고 사업승인권자에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 2021.5.25.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민간사업자가 자본금 등 법령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른 재무건전성을 갖춘 경우에 사업 시행 승인을 거쳐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 제11조(사업의 시행승인 등) ② 법 제11조제1항 본문에서 “자본금 등 대통령령.. 2021. 7. 2.
도시개발사업 개발계획과 실시계획의 구분 # 도시개발사업 개발계획은 사업계획이다. # 실시계획은 개발사업에 맞게 작성하여야 한다. # 관련근거 : 도시개발법 제4조, 제5조, 같은법 시행령 제38조, 제39조 도시개발사업과 관련하여 '개발계획'과 '실시계획' 이라는 용어가 자주 나온다. 언뜻 비슷한 내용과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 같지만 사실 차이가 있다. 개발계획과 실시계획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01. 개발계획 개발계획은 쉽게 말하면 도시개발을 하는 '사업계획'을 말한다. 도시개발구역의 명칭·면적, 사업시행기간, 시행자, 시행방식, 인구수용계획, 토지이용계획, 기반시설계획, 자금조달계획 등이 포함된다. 지정권자가 도시개발구역을 지정하려면 이 도시개발구역에 대한 도시개발사업의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개발계획은 지정권자가 직접 수립하거나 .. 2021. 7. 1.
시가화용지와 시가화예정용지의 개념과 차이점 # "시가화용지"는현재 시가화가 형성된 기개발지로서 기존 토지이용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정비하는 토지이다.# "시가화예정용지"는 당해 도시의 발전에 대비하여 개발축과 개발가능지를 중심으로 시가화에 필요한 개발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용지이다.# 관련근거 : 「도시·군기본계획수립지침」 4-4-301. 시가화용지  시가화용지는현재 시가화가 형성된 기개발지로서 기존 토지이용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정비하는 토지로서 주거용지·상업용지·공업용지·관리용지로 구분하여 계획하고, 면적은 계획수립 기준연도의 주거용지·상업용지·공업용지·관리용지로 하여 위치별로 표시한다. 대상지역은도시지역내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이며택지개발예정지구, 국가·일반·도시첨단산업단지 및 농공단지, 전원개발사업구역이다. 도시공원 중 어린이.. 2021. 6.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