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나 신문을 보다보면 정치인들이나 학자들이 간혹 현 정권의 정치 형태를 비판할 때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의 내용을 인용해서 비판한 것을 본적이 있다.
그래서 오늘은, 사마천(司馬遷) 이 저술한 사기(史記)의 내용중에서 정치에 대한 부분을 말하고자 한다.
정치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가?
"정치"는 나라를 다스리는 일을 의미한다. 국가의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면서 행사하는 활동으로 국민들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상호 간의 이해를 조정하며, 사회 질서를 바로잡는 따위의 역할을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참다운 정치란 무엇인가?
중국 한나라때 사마천(司馬遷) 이 저술한 사기(史記) '화식열전'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사마천(司馬遷)은 군주의 통치형태, 즉 정치의 등급을 26자로 간략하게 나누어 기술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개의 등급으로 나누어진다.
故善者因之(고선자인지)
其次利道之(기차리도지)
其次敎誨之(기차교회지)
其次整齊之(기차정제지)
最下者與之爭(최하자여지쟁)
이 내용을 풀이하면
"제일 좋은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따르는 것이고,
그다음이 이익으로 국민을 유도하는 것이고,
세 번째가 도덕으로 설교하는 것이고,
아주 못한 게 형별로 겁주는 것이고,
최악의 정치는 국민과 다투는 것이다."
사기(史記)가 저술된 지 2,000년이 넘었기 때문에 당시 사마천이 열거한 정치의 등급이 현재 시점에서 보면 그대로 적용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아주 적용하기 힘든 부분도 아닌것 같다.
첫 번째는 너무 이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이야기로 과거나 현재에도 찾아보기 어려울 수 있으나,
두 번째와 세 번째는 아주 간혹 국가에 우수한 지도자가 나타났을 때 볼 수 있다.
그리고,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정치의 등급은 지금 현재 지구상 어느 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형태로써 바로 국민을 무시하고 탄압과 억압이 있는 정치다.
사마천은 형벌로 겁을 주는 것보다 더 못하는 정치가 바로 국민과 다투는 것이라 했다.
다툰다는 것은 국민들의 의견을 듣지 않는 것이요, 대립하는 것이다.
국민들의 원성이 커지는 것이다.
지금, 나라가 참으로 어수선한 분위기다.
정치라는 것은 사마천이 살았던 2,000년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를바가 없는 듯 하다.
사마천의 정치의 등급으로 보았을 때 지금은 정권은 과연 몇 번째 등급의 정치를 하고 있는 것일까?
아마도 국민들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생활정보 > 인문학에서 배우는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 설림편> 노마식도, 늙은말이 길을 안다. (1) | 2025.02.05 |
---|---|
<주자, 권학문> 소년은 늙기 쉽고 학문은 이루기 어렵다. (0) | 2025.01.29 |
<박노해 시인의 겨울시> 그 겨울의 시, 겨울사랑 (4) | 2024.12.11 |
톰 워삼 '기러기 이야기'에서 배우는 지혜와 리더쉽 (0) | 2024.11.27 |
<도덕경 제71장> 지부지상, 알면서 모르는 척하는 것이 최상의 덕이다. (0) | 2024.11.20 |